분류 전체보기

·Pwnable/Background
[목차]1. Sandbox란?2. SECCOMP란 2-1. SECCOMP 모드 2-1-1. STRICT_MODE 2-1-2. FILTER_MODE 2-2. 코드 적용 방법 2-2-1. seccomp 라이브러리 사용 2-2-2. BPF문법을 사용3. seccomp-tools 1. Sandbox란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기법애플리케이션이 꼭 필요한 시스템 콜만 실행하게 하거나, 파일의 접근만을 허용하게 하여   공격을 어렵게 하기 위한 보안 메커니즘 중 하나 (2가지 방법)Allow List : 전체를 차단한 후 원하는 시스템 콜만 허용Deny List : 전체를 허용한 후 차단할 시스템 ..
·CTF/Write-up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요약)1. apt-get update 및 sudo 설치2. sudo를 권한을 받을 {user}을 추가 과정(1) apt-get update 및 sudo 설치$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sudo  (2) sudo를 권한을 받을 {user}을 추가$ adduser --disabled-password --gecos "" {user} \ && echo '{user}:{user}' | chpasswd \ && adduser {user} sudo \ && echo '{user} ALL=(ALL) NOPASSWD:ALL' >> /etc/sudoers ex) {user} - rd => 해당 스크립트를 추가하길 원하는 사용자이름으로 바꿔서 넣었을떄 사용자로써 ..
·Project
(github 링크)https://github.com/Greedun/LegacyDynEnv [시스템을 구축한 이유]glibc 2.23버전을 쓰기 위해서 ubuntu16버전이 필요도커에서 ubuntu16버전을 구축한 후 내부분석 진행하려 했지만 파이썬 3.6까지만 지원하여 제약 발생그래서 역으로 최신 우분투에서 glibc 2.23버전을 사용하는 바이너리를 동적 디버깅할까? 고민 1. 시스템 구성동적 디버깅 환경구축 실험1. LD_PRELOAD, LD_LIBRARY_PATH를 이용한 동적 링킹 수정2. glibc2.23버전의 libc.so.6, ld.so를 다운 받아서 pwntools이용3. 1번과정 + patchelf + 16버전에서 컴파일된 바이너리 이용 (방법1). LD_PRELOAD, LD_LIBRA..
·Pwnable/Tool
1. One-gadget이란? 라이브러리 내에 execve함수 인자값으로 "/bin/sh"가 존재하여 해당 주소로 실행하는 것만으로 쉘 실행이 가능한 가젯. [왜 one-gadget을 쓰는 것인가?] => 기존에 쉘을 실행하는 방법(RTL, ROP기법) 1. "/bin/sh"문자열이 없다면 입력하고서 이용 2. 함수호출규약에 따라 레지스터에 값을 세팅 3. execve, system함수를 호출 기존에는 위 과정을 거쳐서 쉘을 실행했지만 이 one-gadget을 이용하면 해당 주소 호출만으로 쉘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다.2. one-gadget을 찾는 방법 2-1. 리눅스 명령어와 도구를 이용하여 탐색 (1) "/bin/sh" 문자열 찾기 strings -tx “libc.so.6주소” | gre..
·Projec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참고링크 : https://cosmosproject.tistory.com/260] [진행한 macbook 버전 : Monterey] MacOS운영체제 버전 확인법 왼쪽 위에 사과버튼 -> "이 Mac에 관하여"클릭 -> "개요"에서 확인 가능 (다운파일) 1. 다운 받은 파일 설치 과정 => 2,3번 캡쳐들은 "확인"을 누르면 이후부터 안나오는데 "보안 환경설정" 하는 부분을 밑에서 추가 설명 설명할 것이다. (+ 보안 환경설정) [접근 방법 : 왼쪽 상단 사과 버튼 -> 시스템 환경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보호"] => 2번에서 확인을 눌렀지만 보안 환경설정을 하려면 하단 부분의 "다음에서 다운로드한 앱 허용"에서 허용해줘야한다. 하지만 비활성화가 되어있어서 누를수가 없는데 왼쪽 하단에 좌물쇠..
1. My Alienware으로 접속 2. My Alienware으로 접속하면 FUSION탭으로 접속한다. 3. 안에 들어가면 Cpu, gpu, 메모리 정보가 뜨고 빨간색을 클릭한다면 온도관련해서 볼수있다. 4. 온도관련해서는 왼쪽[1]에 상황별로 쿨러를 조절하기위한 커스텀이 존재하고 하나 클릭해서 내부를 보면 cpu, gpu쿨러를 조절할 수 있다. 쿨러의 세부적으로 조절하기위해서는 [2]로 들어가면 된다. 5. 고급기능에 들어가면 3가지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1],[2]으로만 조절해봤다. [1]은 말그대로 내부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고 [2]는 온도별 쿨러의 속도 퍼센트를 조절해주는 것이다. 빨간색 네모 부분이 조절 할 수 있는 포인트인데 중간포인트으로 경사도를 표현할 수 있다.
·Wargame/Teamh4c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Wargame/Teamh4c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reedun (lr-x-dl)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